[취미]디오라마 ''미니 나라''로 오세요
[세계일보 2005-03-31 17:06]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고 싶다는 욕구는 본능이다 싶을 정도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다. 디오라마(Diorama)는 역사적으로 유명한 전투 장면 등을 축소해서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이다. 박물관 등에서 본 전투 장면 축소모형도 디오라마의 한 예다. 자신이 관심 있는 장면은 어느 것이든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이 디오라마만의 매력이다. 예술 작품을 떠올릴 정도로 정교하고 수준 높은 디오라마는 상당한 노력과 열정을 필요로 하지만, 완성했을 때의 성취감은 그 노력을 보상하고도 남는다. SBS 드라마 ‘봄날’을 통해서도 소개됐던 디오라마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창조성은 필수=머릿속 장면을 구체적으로 재현해 내는 것이기 때문에 구성력이 없어서는 안 된다. 외국에서 디오라마가 종합예술로 불리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세부적인 묘사도 중요하지만, 전체 구성이 조화를 이루며 제작돼야 한다는 것이다. 디오라마는 근대 이후 서양에서 테이블 위에 인형들을 올려놓고 역사적인 전투 장면 등을 재현해 놓은 데서 유래한 만큼 역사적 지식이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세밀하게 재현하려면 당시 사물에 대한 관찰력도 따라야 한다. 이처럼 디오라마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역사에 대한 관심이나 관찰력이 높아지게 된다. 표현 기술은 주변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배경지식은 역사책을 통해 공부해야 한다. 세부적인 표현을 위해서는 관찰력을 기르는 노력이 필요하다.
전문 ‘프라모델러(Plastic+model+finisher)’이자 모형전문잡지 ‘네오’의 편집장인 김세랑(32)씨는 “디오라마에는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지식, 만들어내는 손재주, 도료 작업에서의 미적 감각, 구성력 등이 종합적으로 필요하다”며 “구성력을 통해 결정적으로 달라진다”고 말했다.
◆재료 준비도 자유=디오라마를 만들려면 단품 프라모델이 우선 필요하다. 시중에서 1만∼2만원 대에 살 수 있는 프라모델을 제작해 도료를 바르면 단품은 완성된다. 그다음부터 디오라마의 창의성이 시작된다. 단품으로 살 수 있는 인형, 탱크, 자동차 등을 제외하고 건물 등을 어떻게 배치하고 무슨 색을 칠할지, 땅과 산 들은 어떤 모습으로 만들지를 제작자가 창안해 내는 것이다.
디오라마의 가장 큰 특징인 창조성은 제작할 때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과도 맞닿아 있다. ‘베이스’(인형과 차량, 지형을 배치하는 받침)는 그림으로 치면 도화지에 해당한다. 베이스로는 액자가 많이 활용된다. 구하기도 쉽고 기본 모양인 사각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액자 이외에도 주변 목공소에서 구한 나무판이나 작은 CD 케이스도 가능하다.
디오라마 제작 경험자들은 이구동성으로 “무엇으로 하는지는 자유다. 어떤 재료를 쓰든지 실물처럼 표현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말한다. 넓고 평평한 바닥만 있으면 ‘베이스’를 만들 수 있다. 산을 표현할 때 지점토, 스티로폼, 석고, 폐지 등 재료감은 주변에 널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흙이나 풀을 표현할 때도 ‘어떤 재료든 자유’다.
◆과욕은 금물=디오라마 수준도 천차만별이다. 기차가 움직이고 철도 신호체계, 자연 환경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것이라면 제작기간 수개월에 비용도 수백만원이 들어간다. 입문자에게 이는 단지 희망사항일 뿐이다.
김세랑 편집장은 “처음에는 자신의 실력에 맞도록 간단하고 쉬운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며 “물이나 풀이 있는 장면을 처음부터 시도하려는 것은 무리”라고 조언했다. 그는 또 “처음에 마음에 드는 작품이 나오지 않더라도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두원 기자 flyhigh@segye.com
///////////////////////////////////////////////////////////////
오랜만에 모형관련 기사가 신문에 나는 것은 좋은데 기사를 풀빵찍듯이 인스턴트로 급조하는 것은 항상 마음에 안드는 부분이다.
꼭 다른 매체등에서 이슈화 되고나면 너도 나도 달려드는 저급한 벌떼 저널리즘도 불만이고...
하지만 모형제작이라는 취미를 조금이라도 알릴 수 있을까 해서 매번 인터뷰에 응하긴 하지만, 정말로 진지하게 모형제작이라는 세계를 바라보고자 인터뷰를 청해오는 기자를 만나고 싶다,
제발 인터뷰 하러 와서 "이 장난감은 얼마냐"고 묻지 좀 말라고요!
[세계일보 2005-03-31 17:06]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고 싶다는 욕구는 본능이다 싶을 정도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다. 디오라마(Diorama)는 역사적으로 유명한 전투 장면 등을 축소해서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이다. 박물관 등에서 본 전투 장면 축소모형도 디오라마의 한 예다. 자신이 관심 있는 장면은 어느 것이든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이 디오라마만의 매력이다. 예술 작품을 떠올릴 정도로 정교하고 수준 높은 디오라마는 상당한 노력과 열정을 필요로 하지만, 완성했을 때의 성취감은 그 노력을 보상하고도 남는다. SBS 드라마 ‘봄날’을 통해서도 소개됐던 디오라마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창조성은 필수=머릿속 장면을 구체적으로 재현해 내는 것이기 때문에 구성력이 없어서는 안 된다. 외국에서 디오라마가 종합예술로 불리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세부적인 묘사도 중요하지만, 전체 구성이 조화를 이루며 제작돼야 한다는 것이다. 디오라마는 근대 이후 서양에서 테이블 위에 인형들을 올려놓고 역사적인 전투 장면 등을 재현해 놓은 데서 유래한 만큼 역사적 지식이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세밀하게 재현하려면 당시 사물에 대한 관찰력도 따라야 한다. 이처럼 디오라마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역사에 대한 관심이나 관찰력이 높아지게 된다. 표현 기술은 주변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배경지식은 역사책을 통해 공부해야 한다. 세부적인 표현을 위해서는 관찰력을 기르는 노력이 필요하다.
전문 ‘프라모델러(Plastic+model+finisher)’이자 모형전문잡지 ‘네오’의 편집장인 김세랑(32)씨는 “디오라마에는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지식, 만들어내는 손재주, 도료 작업에서의 미적 감각, 구성력 등이 종합적으로 필요하다”며 “구성력을 통해 결정적으로 달라진다”고 말했다.
◆재료 준비도 자유=디오라마를 만들려면 단품 프라모델이 우선 필요하다. 시중에서 1만∼2만원 대에 살 수 있는 프라모델을 제작해 도료를 바르면 단품은 완성된다. 그다음부터 디오라마의 창의성이 시작된다. 단품으로 살 수 있는 인형, 탱크, 자동차 등을 제외하고 건물 등을 어떻게 배치하고 무슨 색을 칠할지, 땅과 산 들은 어떤 모습으로 만들지를 제작자가 창안해 내는 것이다.
디오라마의 가장 큰 특징인 창조성은 제작할 때의 다양한 응용 가능성과도 맞닿아 있다. ‘베이스’(인형과 차량, 지형을 배치하는 받침)는 그림으로 치면 도화지에 해당한다. 베이스로는 액자가 많이 활용된다. 구하기도 쉽고 기본 모양인 사각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액자 이외에도 주변 목공소에서 구한 나무판이나 작은 CD 케이스도 가능하다.
디오라마 제작 경험자들은 이구동성으로 “무엇으로 하는지는 자유다. 어떤 재료를 쓰든지 실물처럼 표현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말한다. 넓고 평평한 바닥만 있으면 ‘베이스’를 만들 수 있다. 산을 표현할 때 지점토, 스티로폼, 석고, 폐지 등 재료감은 주변에 널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흙이나 풀을 표현할 때도 ‘어떤 재료든 자유’다.
◆과욕은 금물=디오라마 수준도 천차만별이다. 기차가 움직이고 철도 신호체계, 자연 환경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것이라면 제작기간 수개월에 비용도 수백만원이 들어간다. 입문자에게 이는 단지 희망사항일 뿐이다.
김세랑 편집장은 “처음에는 자신의 실력에 맞도록 간단하고 쉬운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며 “물이나 풀이 있는 장면을 처음부터 시도하려는 것은 무리”라고 조언했다. 그는 또 “처음에 마음에 드는 작품이 나오지 않더라도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두원 기자 flyhigh@segye.com
///////////////////////////////////////////////////////////////
오랜만에 모형관련 기사가 신문에 나는 것은 좋은데 기사를 풀빵찍듯이 인스턴트로 급조하는 것은 항상 마음에 안드는 부분이다.
꼭 다른 매체등에서 이슈화 되고나면 너도 나도 달려드는 저급한 벌떼 저널리즘도 불만이고...
하지만 모형제작이라는 취미를 조금이라도 알릴 수 있을까 해서 매번 인터뷰에 응하긴 하지만, 정말로 진지하게 모형제작이라는 세계를 바라보고자 인터뷰를 청해오는 기자를 만나고 싶다,
제발 인터뷰 하러 와서 "이 장난감은 얼마냐"고 묻지 좀 말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