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송 3사의 고구려 3파전이 실제 전쟁만큼이나 뜨거운 것 같다. MBC의 [주몽]은 그 스케일과 연장방송 문제가, SBS의 [연개소문]은 역사왜곡 문제가, 그리고 KBS의 [대조영]은 주인공인 대조영의 태생을 둘러싼 이른바 '제왕지운'이 이래저래 입에 오르내리고 있는 모양이다. 개인적으로 십수년전부터 우리나라 상고사, 특히 고대 전쟁사와 그 복식고증을 공부하며 잡지에 [역사인물기행]과 [비천]이라는 코너를 연재했고 이를 통해 광개토대왕, 화랑 김유신, 이순신 장군등을 만들며 작품생활을 했던 나로써는 과거 [삼국기]라는 드라마 이후로 오래간만에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의 등장이 일단은 반갑지만, 그 속내는 그리 달갑지만은 않다. 먼저 이 삼국시대 배경의 드라마들이 등장한 것이 그간 한중간의 정치적인 핫이슈였던 고구려사와 동북공정에 대한 국민적 관심사를 이용하려 든 기획이라는 점과 [주몽]과 앞으로 등장할 [태왕사신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통 사극이라기보다는 [반지의 제왕]과도 같은 환타지물로써 역사를 접근하는 점이 맘에 들지 않기 때문이다.
주몽의 경우 가장 먼저 시작되었지만 방송 몇회만에 난 더이상 드라마를 볼 흥미를 잃어버렸다.
아무리 이 시기에 대한 기본적인 사료가 부족하다고는 하지만, 이 드라마는 사실상 사극이길 포기한 RPG게임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다모의 성공이후 일종의 유행처럼 퍼지는 이른바 '퓨전사극'은 말도 안되는 캐릭터들과 제멋대로의 역사를 그리고 있어 사극의 형식과 정통성을 심각하게 파괴하고 있을 정도다. 뒤이어 등장한 연개소문은 초반 안시성 전투의 재현으로 다소 주목을 끌긴 했지만, 역시 비루한 수준의 대사들과 형식적인 전투장면의 묘사로 대책없이 맥이 빠져 버렸다.
비록 후발주자이기는 하나 대조영은 전통의 KBS 대하사극답게 위의 두 작품들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다가와 그나마 드라마 볼 재미를 조금은 안겨준다. 전투씬의 강약조절과 적절한 대사처리,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고증과 변용, 무엇보다도 각각의 등장 캐릭터들이 생생하게 살아있다는 점에서 극으로써의 완성도가 돋보인다. 특히 이 드라마에서 신들린듯 연기하는 김진태씨의 연개소문 연기는 소름이 돋을 정도다. 완벽한 호랑이상을 하고 있는 김진태씨의 얼굴과 목소리는 머릿속에서 그리는 연개소문의 이미지를 판에 박은 듯 하고 안시성주 양만춘을 연기하는 임동진씨의 중후한 연기, 설인귀역의 이덕화, 대중상 역의 임혁(예전에 KBS 삼국기에서는 임혁씨가 양만춘을 연기하기도 했다)등 '평균연령 54세'의 중년 연기자들의 과장되지 않으면서도 손에 땀을 쥐게 만드는 열연은 연기의 참맛을 선사한다.
개인적으로 눈여겨 보고 있는 복식고증에 있어서도 주몽은 완전히 환타지 수준이라면 SBS의 연개소문은 나름대로 공들여 제작한 고구려 갑옷이 돋보인다. 그러나 이 갑옷제작에만 의상제작비를 다 써버린 탓인지 수/ 당나라 군대와 다른 의상들의 수준은 한숨이 나올 지경이다. 이에 반해 대조영은 고구려의 말기를 배경으로 하여 전통적인 고구려 갑옷과 당대 유행했던 갑옷 디자인인 명광개를 동시에 등장시키는 한편 그 수준이 적절하고 지나침이 없어 극의 사실성과 몰입에 많은 도움을 준다.
(대조영의 연개소문이 입은 것이 명광개, 뒷쪽의 부장들이 입고 있는 것은 전통적인 고구려 초중기의 갑옷이다. 그 아래 SBS 연개소문에서 을지문적 장군으로 등장하는 이정길씨가 입은 고구려의 전통 갑주는 그나마 재현도가 뛰어나긴 하다)
대조영의 안시성 전투장면.
불멸의 이순신 이후 KBS특수영상실에서 만들어 내는 CG는 비교적 극의 스케일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같은 전투를 그린 SBS의 연개소문에서도 거의 같은 규모의 장면들을 보여주었지만, 장면의 짜임새와 전투의 전개에 있어서 대조영의 안시성 싸움이 훨씬 정사에 가깝고 더 드라마틱하며 당대의 전투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양사 모두 공성전을 묘사하기 위해 운제나 당차, 충차를 비롯한 다양한 공성 무기와 수성 무기들을 등장시키고 있지만 연개소문의 그것이 단순한 화면구성을 위한 액세서리에 불과했던 반면, 대조영에서는 각각의 무기와 장비들이 쓰이는 방법이나 전투방식을 비교적 정확하고 사실감있게 묘사한다.
이 사진은 고구려의 첫번째 도읍이자 주몽이 고구려를 건국한 장소인 오녀산성이다.
깎아지른 듯한 천혜의 절벽을 그대로 이용하고 미흡한 부분에만 석벽을 쌓는 고구려 산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요동지역 고구려 천리장성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성이 바로 이런 산성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무려 130여개의 성을 가지고 있었던 고구려의 성들 중 양만춘의 전투로 잘 알려진 안시성은 몇군데 추정되는 성이 있긴 하지만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드라마를 보며 다소 아쉬웠던 것은 고구려 성을 대표하는 가장 전형적인 모습인 성벽의 '치'와 '옹성'구조가 등장하지 않은 점이다. 치는 성벽 중간중간을 돌출시켜서 소수의 병력으로도 성벽을 오르려는 적병을 삼면에서 쉽게 공격할 수 있는 구조물로 고구려가 가장 먼저 만들어낸 축성 방식이다. 이때문에 고구려의 산성은 공격하기가 무척 어려워 훗날 당나라를 비롯한 다른 나라들에서도 이를 도입해 축성을 하게 되며, 옹성이란 성문의 입구를 그대로 노출시키지 않고 반원형의 호를 그리는 구조물을 만들어 치와 마찬가지로 적의 공격에 대한 방어력을 높인 구조물이다.
이런 옹성 구조는 현재 서울 동대문에서도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있고 치는 만주와 중국지역 곳곳에 아직도 굳건하게 서 있는 고구려 성들의 성벽에 그대로 남아있다. 이런 구조를 드라마 상에서 보여준다면 드라마의 전투 장면이 훨씬 더 풍성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당대를 재현함에 있어서도 훨씬 자연스러울텐데, 드라마의 전투씬 촬영의 상당 부분이 실제로는 청주의 상당산성등 조선시대의 성에서 촬영되고 있기 때문에 화면속에서 이런 모습을 볼 수는 없다는 점은 이해할 수 있다. 문제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서 새로 만들었다는 연개소문, 주몽, 대조영의 성문, 성곽 세트들도 이런 가장 기본적인 부분을 무시해버리고 있다는 사실이다.(아래 사진은 바로 지난 11월 29일 오픈한 대조영의 오픈세트중 고구려 성. 치와 옹성 구조가 완전히 생략되어 있다.)
각 방송사 담당자들의 인터뷰를 보면 하나같이 '당대의 자료가 부족해 최소한의 고증을 한뒤 나머지 부분은 상상력에 의해 미술작업과 의상 제작을 하고 있다'고 앵무새 같이 말들을 하고 있는데, 이는 모두 새빨간 거짓말이다.
차라리 '방송 드라마의 특성상 제작비 지원이 부족하고 공부하고 고증작업을 할 시간이 없어서 어쩔 수 없었다'라고 솔직하게 말하기 바란다.
고구려의 복식이나 갑옷의 형태및 착용방식, 무기, 전투방식등은 조금만 공부하면 충분히 구체화할 수 있는 소스들이 있다.
반지의 제왕에서 등장한 서양식 공성전을 어설프게 흉내내려는 방송3사의 전투장면 연출을 보면 그 답답함에 가슴을 치지만, 한편으로는 이런 드라마가 등장했다는 사실만으로 반가와하고 때론 실제의 역사를 머리에 떠올려 오버랩시키며 눈물 흘리는 한 고대 전쟁사 학도의 푸념이다.